동박은 구리로 만든 박인데, 전지박, 구리박이라고도합니다. 동박에 음극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섞은 음극재를 얇게 펴 발라서 음극의 지지대 역할을 합니다. 얇고, 넓고, 길게 만드는 기술이 관건인 동박에 대해 알아봅시다.
(2023년 3월 18일 방송)
전지박(동박)

구리로 만든 박 - 음극집전체
지지대 역할

동박에 음극활물질, 도전재, 바인더를 섞은 음극재를 얇게 편다.
동박의 역할

동박은 전자의 이동 경로이고, 열을 외부로 방출하고, 전극 형상을 유지하게 한다.
전지박(동박) 제조

드럼의 소재 - 티타늄(고품질), 스테인리스(저가, 중국)
SK넥실리스에서 티타늄 드럼을 사용하여 고품질 동박을 제조한다.
중국에서는 스테인리스 드럼을 사용하여 저가 동박을 제조하는데 중국 내수용으로만 쓰인다.
드럼이 돌고 나면 얇게 펴진 구리박이 나온다.
전지박(동박) 제조과정

구리선을 황산 용액에 녹여서 제박용 전해액을 제조한다.
↓
황산구리 용액으로부터 Copper Ion을 대형 티타늄 드럼에 전착시켜 동박을 제조한다.
↓
고객 요청에 맞춘 다양한 폭의 Roll 제품을 생산
머리카락 굵기 1/20 두께로 77km의 동박을 뽑아냄. 3박 4일 소요
전지박 - SK넥실리스(SKC)

동박은 얇게, 넓게, 길게 만드는 것이 관건이다.

동박 시장

배터리 원가의 6.4% 정도 된다. 배터리 1KWh당 동박 사용량은 0.6kg이다. 연간 신차판매량이 8,000만대인데, 이게 모두 전기차로 바뀐다고 가정했을 때 336만 톤이 소비될 것으로 예상된다. 2022년 동박 시장이 38만 톤인데, 아직 10배 정도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동박 생산능력 전망

한국과 중국의 대결. 일본은 없다.
SKC, 일진머티리얼즈, 솔루스첨단소재가 한국의 동박 3인방
일진머티리얼즈는 2023년 3월 롯데그룹으로 편입되어,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로 사명이 바뀜.
2022년에는 중국의 왓슨이 세계 1위인데, 2025년에는 SKC가 25만 톤으로 1위를 할 예정임.
동박 주요 공급처

일진머티리얼즈(→ 롯데에너지머티리얼즈)
동박 유럽 증설 현황

동박 유럽 증설 현황 - 중국은 없다.
2023년 3월까지는 한국의 독무대
중국은 자국 내 물량을 도맡아서 하는 것 같다.
동박회사가 전기를 많이 써서 유럽에 있는 회사들이 실적이 좋지 않았다.
동박 미국 증설 현황

미국에는 당연히 중국이 진출할 수 없다.
SKC

실리콘 음극재

실리콘 음극재가 흑연보다 에너지 용량이 10배 정도 크다.
10~15%만 혼합해도 충전시간을 절반 이상 단축시킨다.

앞으로 흑연과 혼합하는 양을 15%이상 늘린다고 한다.
염블리와 함께 링크
(2023년 3월 18일 방송)
https://youtu.be/QUov-Y2BR10?si=7gFLw1TEtk8UYQPh
'주식 - 염블리와 함께 배우기 > 2차 전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2차전지 Part8. 양극박(알루미늄) 밸류체인(삼아알미늄,DI동일,롯데알미늄,동원시스템즈,율촌화학) (1) | 2024.03.21 |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2차전지 Part7. CNT도전재(제이오, 나노신소재) (0) | 2024.03.20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2차전지 Part5. 분리막(SK아이이테크, 더블유씨피) (0) | 2024.03.17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2차전지 Part4. 전해액과 전해질! (천보 VS 덕산테코피아) (0) | 2024.03.16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2차전지 Part3. 음극재(흑연 VS 실리콘 음극재) (0) | 2024.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