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저 PBR주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데 저 PBR주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BR에 대한 기본 개념을 알고 저 PBR주에 대해 왜 관심이 많은지 어떻게 투자해야 하는지 공부해 보겠습니다.
(2023년 2월 4일 방송)
재무상태표

자산 = 부채 + 자본

순자산 = 자산 - 부채 = 자본총계

자본총계가 너무 커지는 것이 좋은 것은 아니다.
PBR이 뭔가요?

PBR 구하는 공식

PBR은 주가를 BPS로 나눈 것
삼성전자

EPS, PER, BPS, PBR 네이버에 다 나와있다.
네이버에서 검색

네이버에서 기아를 검색하고, [증권정보 더보기]를 클릭한다.

네이버 증권 기아 검색 화면이 나오면 [종목분석 - 기업현황]에 들어간다.

EPS, PER, BPS, PBR 이 다 나온다
PBR의 의미



미국, 일본, 한국 PBR 비교
적정 PBR

적정 PBR = ROE / (COE - g)
ROE 증가, 금리 하락, 위험 감수, 성장 증가 → PBR 상승(주가 상승)
ROE(자기 자본이익률) = 순이익 / 자본 총계
COD(자본조달비용) = 국채 3년 금리 + 위험 프리미엄(인플레이션)
g = 영구성장률 = 2~3%
지금 금융당국에서 하려는 것은 ROE를 높이는 것이다.
ROE(자기 자본 이익률)




ROE를 높이려면


PBR이 높을수록 ROE가 높다.
ROE가 높으면 내 통장의 가치를 높게 쳐준다.
PBR과 ROE는 같이 간다.

ROE가 상승하려면 자본총계를 낮춘다. EPS는 높이고, BPS는 낮춘다.
순이익은 기업에서 결정할 수는 없지만, 자본총계는 기업에서 마음대로 할 수 있다.
우리나라 기업들이 주주환원율이 너무 낮다.


자본총계를 낮추려면 곳간에 쟁여둔 현금을 없애면 된다. 그러기 위해서는 신사업 투자나 증설을 하면 된다. 그게 아니면 배당, 자사주 매입/소각 등 주주 환원을 하면 된다.
주식투자의 핵심 원리


이마트가 지마켓, 야구단 인수했지만 점유율 떨어지고 주가는 계속 떨어졌다.
반면에 포스코는 2차 전지에 진출해서 시가총액이 2배 이상 증가했다.
잉여현금흐름

배당과 자사주 매입의 원천은 FCF → 잉여현금흐름
잉여현금흐름(FCF) = 영업활동현금흐름 - CAPEX(자본 지출)
대규모 설비투자 지속 기업, 적자 기업, 빚이 많은 기업은 주주환원이 어렵다.

1) 안정적 FCF(현금 흐름)
2) 안정적인 사업 구조
3) 순현금 많이 쌓인 기업
4) 주주환원에 인색했던 기업
저 PBR 기업

PBR이 낮고,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을 할 수 있는 가능성 있는 기업들


잉여현금흐름(FCF)을 확인한다.


ROE가 낮은 기업이 올릴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좋다.

순현금을 살펴본다. 순부채가 -이기 때문에 순현금이 있다는 것이다.
버틀러

버틀러 재무상태표에서 찾아볼 수도 있다.

주주환원 내용도 확인할 수 있다.
지금은 주주환원을 안 했던 기업이 오를 가능성이 있다. 압박을 받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염블리와 함께 링크
(2023년 2월 4일 방송)
https://youtu.be/y2j6dercK2U?si=4oreyJP9_Cql1K57
'주식 - 염블리와 함께 배우기 > 주식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초보 투자자들이 꼭 봐야 할 도서 목록 (1) | 2024.03.12 |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보호예수 해제 물량 여기서 확인하세요 (0) | 2024.03.11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특별판, 2024년 주식투자 준비하기 2(24년 투자 아이디어) (1) | 2024.03.09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특별판, 2024년 주식투자 준비하기 1(24년 투자전략) (0) | 2024.03.03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기업분석 너무 쉬워요! (버틀러와 함께라면~) (1) | 2024.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