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성된 반도체는 기판에 꽂아야 쓸 수 있는데, 기판은 전자기기의 여러 기능들이 잘 구현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한 것입니다. 우리 인체의 신경망 같은 역할을 하고, 반도체를 보호하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기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22년 12월 24일 방송)
1. 기판이란?
2. 패키지 기판 사용처
3. 반도체 칩을 보호하고, 기판에 연결 방식 3가지
1) 와이어 본딩
2) 플립 칩(FC)
숄더볼로 연결하면 입출력 단자가 많아져서 성능이 좋아진다 (고속, 저전력)
지금 많이 사용하는 방식
3) 3D 본딩
가장 최신, 실리콘 전극 관통
이 칩이 가능하게 하려면 칩을 연결하는 후공정 기술이 있어야 하므로 후공정이 갈수록 중요하다.
4. 기판 종류
RF-PCB : 스마트폰, AR/VR, 전장용
층을 높이 쌓을수록 전송 속도가 빠르다.
5. 기판 밸류체인
6. 염블리와 함께 링크
(2022년 12월 24일 방송)
https://youtu.be/eQJT_EDtKek?si=3VpCGjoFIgfsLHBg
'주식 - 염블리와 함께 배우기 > 반도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반도체 Part10 - 후공정 서비스(OSAT)(네패스, 두산테스나, 엘비세미콘, SFA반도체, 한양디지텍) (0) | 2024.01.09 |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반도체 Part9 - 소켓과 검사 공정 (0) | 2024.01.09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반도체 Part7 - 후공정과 패키징(3D 패키징의 중요성) (1) | 2024.01.09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 반도체Part6. 전공정 장비 3대장 분석!(넥스틴, 파크시스템스, HPSP) (0) | 2024.01.08 |
염블리와 함께배우기 반도체 Part5 - 연마/세정/테스트/인프라 공정(전공정의 마무리) (0) | 2024.01.07 |